주 3) 부순자갈의 경우, 0.08mm체를 통과하는 재료가 돌가루인 경우에는 최대치를 1.5%로 해도 좋다. 다만,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경우에는 최대치를 5.0%로 해도 좋다
주 4)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내구성
콘크리트용 굵은골재는 다음 표 16-22의 안정성, 단위중량 및 마모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굵은골재의 내동해성은 KS F 2507에 따라 시험한다.
황산나트륨에 의한 안정성 시험을 할 경우, 조작을 5번 반복했을 때 굵은골재의 손실질량백분율의 한도는 12 %로 한다.
손실질량이 (2)에서 지시한 한도를 넘는 굵은골재는 이것을 사용한 같은 정도의 콘크리트가 예상되는 기상작용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내동해성을 나타낸 실례가 있다면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이것을 사용해도 좋다.
손실질량이 (2)에서 지시한 한도를 넘는 굵은골재는 이것을 사용한 실례가 없는 경우라도 이것을 사용해서 만든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시험결과로부터 공사감독자가 만족할 만한 것이라고 인정한 경우에는 이것을 사용해도 좋다.
내동해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구조물에 쓰이는 굵은골재는 이 조항의 (1), (2), (3) 및 (4)에 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좋다.
화학적 혹은 물리적으로 불안정한 굵은골재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그 사용실적, 사용조건, 화학적 혹은 물리적 안정성에 관한 시험결과 등에서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이것을 사용해도 좋다.
표 16-22. 콘크리트용 굵은골재의 물리적 성질
종 류 | 공기냉각 고로 슬래그 | 자갈, 부순 자갈, 부순 돌 |
안정성(%) (5회의 손실량, 중량의 최대 백분율)(1) - 황산나트륨 다져진 상태의 단위중량(2) (㎏/㎥) 마모감량(최대 손실 중량 백분율) (3)(%) - 콘크리트의 포장표층 - 기 타 흡수량 비 중 |
8이하 1,100 |
12이하 25이하 40이하 3.0이하 2.5이상 |
주 (1) 손실량은 입자로 규정한 각 시료의 합산값을 말한다.
주 (2) 시료의 입도는 콘크리트에 사용된 입도이어야 한다.
주 (3) 마모손실량은 콘크리트에 사용된 입도에 따라 측정한다. 다만, 하나 이상의 입도를 가진 콘크리트에 사용할 경우에는 마모손실량의 허용값은 각각의 입도에 적용한다.
부순 굵은골재
부순 굵은골재는 KS F 2527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부순 굵은골재의 제조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부순 잔골재의 경우와 같다.
부순 돌은 현무암, 안산암, 경질 사암, 경질 석회암 또는 이에 준한 석질을 가진 암석으로 만든골재로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며, 먼지 흙, 유기 불순물 등의 해로운 양을 함유하지 않아야한다.
부순 돌의 종류는 크게 알칼리 골재 반응에 따라 A형(알칼리 골재 반응 시험결과 무해한 것), B형(알칼리 골재 반응 시험결과 무해한 것으로 판정되지 않은 것 또는 이 시험을 하지 않은것)으로 구분하며, 입자의 크기에 따라 표 16-23과 같이 분류한다.
표 16-23. 부순 돌의 입자 크기에 따른 종류
골 재 번 호 | 입자 크기의 범위 (㎜) |
부순굵은골재 1 부순굵은골재 2 부순굵은골재 3 부순굵은골재 357 부순굵은골재 4 부순굵은골재 467 부순굵은골재 57 부순굵은골재 67 부순굵은골재 7 부순굵은골재 78 부순굵은골재 8 |
90 ~ 40 65 ~ 40 50 ~ 25 50 ~ 5 40 ~ 20 40 ~ 5 25 ~ 5 20 ~ 5 15 ~ 5 13 ~ 2.5 10 ~ 2.5 |
비고 : 명칭 및 종류의 표기 (보기: 콘크리트용 부순 굵은골재 67 A)
* A는 위의 항에 따른 표기임.
부순 굵은골재의 물리적 성질 및 입도는 각각 표 16-24 및 표 16-25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표 16-24. 부순 굵은골재의 물리적 성질
시험 항목 | 품질 기준 |
절대 건조 밀도(g/cm3) | 2.50 이상 |
흡수율(%) | 3.0 이하 |
안정성(%)1) | 12 이하 |
마모율(%) | 40 이하 |
0.08 mm체 통과량(%) | 1.0 이하 |
주 1) 안정성 시험은 황산나트륨으로 5회 실시한다
표 16-25. 부순 굵은골재의 입도의 표준
체의호칭치수 (mm) 골재번호 |
체를 통과하는 것의 질량 백분율 (%) | ||||||||||||
100 | 90 | 75 | 65 | 50 | 40 | 25 | 20 | 15 | 10 | 5 | 2.5 | 1.2 | |
부순 굵은골재 1 | 100 | 90~ 100 | 25~ 60 | 0~ 15 |
0~5 | ||||||||
부순 굵은골재 2 | 100 | 90~ 100 | 35~ 70 | 0~ 15 |
0~5 | ||||||||
부순 굵은골재 3 | 100 | 90~ 100 | 35~ 70 | 0~ 15 |
0~5 | ||||||||
부순 굵은골재 357 | 100 | 95~ 100 | 35~ 70 | 10~ 30 | 0~5 | ||||||||
부순 굵은골재 4 | 100 | 90~ 100 | 20~ 55 | 0~ 15 |
0~5 | ||||||||
부순 굵은골재 467 | 100 | 95~ 100 | 35~ 70 | 10~ 30 | 0~5 | ||||||||
부순 굵은골재 57 | 100 | 95~ 100 | 25~ 60 | 0~ 10 |
0~5 | ||||||||
부순 굵은골재67 | 100 | 90~ 100 | 20~ 55 | 0~ 10 |
0~5 | ||||||||
부순 굵은골재 7 | 100 | 90~ 100 | 40~ 70 | 0~ 15 |
0~5 | ||||||||
부순 굵은골재 78 | 100 | 90~ 100 | 40~ 75 | 5~ 25 |
0~10 | 0~5 | |||||||
부순 굵은골재 8 | 100 | 85~ 100 | 10~ 30 | 0~10 | 0~5 |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는 용광로에서 선철과 동시에 생성되는 용융 슬래그를 서서히 냉각시켜 부순 것이다.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종류는 표16-26과 같으며, KS F 2544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표 16-26.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의 종류
종 류 | 입자의 크기의 범위 (㎜) |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467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4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57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67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7 |
40 ~ 5 40 ~ 20 25 ~ 5 20 ~ 5 13 ~ 5 |
KS F 2544에서는 표 16-27과 같이 고로슬래그 굵은골재를 A 및 B로 분류하고 있지만, 이 시방서에서는 B에 속하는 고로슬래그 굵은골재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A에 속하는 것은 내구성이 중요하지 않고, 또 설계기준강도가 21 MPa 미만인 콘크리트에 한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알루미나시멘트와 고로슬래그 굵은골재를 병용하면 급결성을 나타내므로 특수한 경우 이외에는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또 전기로 슬래그나 전로 슬래그 등의 제강 슬래그로 만든 굵은골재는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와 달라서 불안정하므로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절건밀도 및 흡수율, 단위용적질량시험은 KS F 2544에 따른다.
표 16-27.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분류
항목 분류 |
절건밀도(g/cm3) | 흡수율(%) | 단위용적질량 (kg/m3) |
A | 2.2 이상 | 6 이하 | 1250 이상 |
B | 2.4 이상 | 4 이하 | 1350 이상 |
고로 슬래그 굵은 골재는 콘크리트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함유하지 않아야 하며, KS F 2544의 5.2~5.4에 따라서 시험했을 때 표 16-28의 규격에 맞아야 한다.
표 16-28.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의 품질 기준
항 목 | 규 정 값 | |
화 학 성 분 (%) |
산화칼슘 (CaO) | 45.0이하 |
황 (S) | 2.0이하 | |
삼산화황 (SO3) | 0.5이하 | |
철 (FeO) | 3.0이하 | |
수 중 침 지 시 험 | 균열, 분해, 니상화(泥狀化), 분화(粉化) 등의 현상이 없을것 | |
자외선 (360.0nm) 조사시험 | 발광하지 않거나 또는 균일한 자색을 띠고 있을 것 |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의 입도는 KS F 2544의 5.5 및 KS F 2502에 따라 시험했을 때, 표 16-29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16-29.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의 입도
체의 호칭 치수(1) (mm) 종류 및 입자의 크기의 범위 (mm) |
체를 통과하는 것의 무게 백분율 (%) | ||||||||
53 | 37.5 | 26.5 | 19 | 13.2 | 9.5 | 4.75 (No. 4) |
2..36 (No. 8) |
||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467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4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57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67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7 |
37.5~4.75 37.5~19 26.5~4.75 19~4.75 13.2~4.75 |
100 100 |
95-100 90-100 100 |
- 20-55 95-100 100 |
35-70 0-15 - 90-100 100 |
- - 25-60 - 90-100 |
10-30 0-5 - 20-55 40-70 |
0-5 - 0-10 0-10 0-15 |
- - 0-5 0-5 0-5 |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에 규정한 표준 망체 106㎜, 90㎜, 75㎜, 63㎜, 53㎜, 37.5㎜, 26.5㎜, 19㎜, 13.2㎜, 9.5㎜, 4.75㎜ 및 2.36㎜로 한다.
주 (2)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의 조립률은 구입시에 생산자가 제공한 견본품에 대하여 시험해서 구한 조립율과 ±0.3 이상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골재의 저장
잔골재, 굵은골재 및 종류와 입도가 다른 골재는 각각 구분하여 따로 저장하여야 한다. 특히, 원석의 종류나 제조 방법이 다른 부순 잔골재는 분리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골재의 받아들이기, 저장 및 취급에 있어서는 대소의 알이 분리하지 않도록, 먼지, 잡물 등이 혼입되지 않도록, 또 굵은골재의 경우에는 골재 알이 부서지지 않도록 설비를 정비하고 취급작업에 주의하여야 한다.
골재의 저장설비는 적당한 배수시설을 설치하고, 그 용량을 적절히 하여 표면수가 균일한 골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또 받아들인 골재를 시험한 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겨울에 동결되어 있는 골재나 빙설이 혼입되어 있는 골재를 그대로 사용하면 비빈 콘크리트의 온도가 저하하여 콘크리트가 동결하거나 품질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골재를 저장하여야 한다.
여름에 장기간 뙤약볕에 방치된 골재를 그대로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아져서 운반이나 취급 중에 워커빌리티가 현저하게 변화를 일으키거나 응결이 몹시 빨라져서 만족스러운 시공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적당한 씌우개로 덮거나 살수를 하는 등 적절한 시설을 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시료 채취 및 시험 방법
시료채취 : 골재의 시료 채취는 KS F 2501에 따른다.
입 도 : 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KS F 2502에 따른다.
No. 200체 통과량 :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No. 200체를 통과하는) 시험은 KS F 2511에 따른다.
유기 불순물 :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 시험은 KS F 2510에 따른다.
모르터에 의한 성질 측정 : 모르터의 압축 강도에 의한 잔골재 시험은 KS F 2514에 따른다.
압축강도 :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은 KS F 2405에 따른다.
휨 강 도 :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은 KS F 2408에 따른다.
안 정 성 : 골재의 안정성 시험은 KS F 2507에 따른다.
점토 덩어리 : 골재 중에 함유되어 있는 점토 덩어리량의 시험은 KS F 2512에 따른다.
석탄 및 갈탄 : 골재에 포함된 경량편 시험은 KS F 2513에 따른다.
슬래그의 중량 : 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공극률 시험은 KS F 2505에 따른다.
굵은골재의 마모 : 로스엔젤레스 시험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 시험은 KS F 2508에 따른다.
조 립 율 :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는 KS F 2523에 따른다.
연 석 량 : 긁기 경도에 의한 굵은 골재의 연석량 시험은 KS F 2516에 따른다.
골재반응 : 골재의 알칼리 잠재반응 시험(화학적 방법)은 KS F 2545에 따른다.
동결융해 : 급속 동결융해에 대한 콘크리트 저항 시험은 KS F 2456에 따르다.
비중 및 흡수량 : 굵은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 시험은 KS F 2503에 따른다.
세장 또는 편평석편 : 5㎜체에 남는 굵은골재 중 폭에 대한 길이의 비 또는 두께에 대한 폭의비가 1:3 또는 3:1 이상인 얇거나 가느다란 골재를 가려내어 그 중량을 측정하여 공사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실시한다.
혈 암 : 육안판단에 의하여 손으로 가려내어 그 중량을 측정하여 공사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실시한다.
유리질입자 : 육안판단에 의하여 손으로 가려내어 그 중량을 측정하며 공사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실시한다.
철 입 자 : 철입자 함유량은 양질의 자석을 사용하여 철입자를 가려내어 그 중량을 측정한다. 철입자를 함유한 슬래그는 모두 철로 간주한다.
'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셀프 사전점검 방법 및 필수사항 (0) | 2023.04.24 |
---|---|
도로공사 일반사항 2 (0) | 2023.03.24 |
도로공사 일반사항 1 (0) | 2023.03.23 |
콘크리트용 골재 1 (1) | 2023.03.23 |
안전 및 보건관리 예시 (0) | 2023.03.22 |
댓글